IR뉴스
HOME > IR뉴스
인쇄하기
[IB토마토](철강 구조조정)①침체 악순환…고리 끊을 '구조조정' 절실
이 기사는 2025년 09월 16일 16:26  IB토마토 유료 페이지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철강산업이 저성장 국면 고착화 현상으로 탈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발 저가 철강 물량공세가 세계적 현상이 되면서 악재는 심화되는 모습이다. 위기는 산업 가장 아래에 있는 업체의 붕괴부터 시작되고 있다. 철강산업 침체는 지역 경제의 침체로 이어지는 등 경제적 충격이 크다. 이에 정부는 철강산업 구조조정 계획을 구상하는 등 위기 확대를 막기 위해 칼을 빼들었다. 철강 구조조정의 본질은 구조적으로 낮아진 수요에 맞춰 공급을 줄여 생존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과거 황금기가 돌아오지 않을 것이란 비관론이 팽배하지만, 모든 산업의 근본이라는 점에서 철강산업은 반드시 살아남아야 하는 산업이다. 이에 <IB토마토>는 철강산업 침체 현실을 살펴보고, 철강 지원 정책의 실효성과 구조조정이 반드시 성공해야 하는 이유를 탐색해 본다.(편집자주)
 
[IB토마토 정준우 기자] 철강 산업에 대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저성장 국면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산 철강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요 감소는 공급 과잉으로 이어지며, 철강업체의 고정비 부담이 된다. 이는 자금력이 부족한 중견·중소기업의 위기로 확산될 수 있다. 여기에 철강산업의 위기는 지역 경제를 흔드는 등 충격파가 크다. 구조조정이 속도전으로 가야 하는 이유다.
 
(사진=연합뉴스)
  
저성장 국면에 낮은 수요 두고 경쟁
 
16일 업계에 따르면 포항 지역에 위치한 중견 및 중소 철강사의 생산실적은 감소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지난 1~7월 포항철강산업단지 내 270곳의 입주사의 총생산액은 8조237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항철강산업단지 내에는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다양한 철강사가 입주해 있어 산업의 정상부터 바닥까지 업황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철강산업이 침체를 겪으면서 구조조정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수요에 맞춘 합리적인 생산량으로 구조를 전환해야 산업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철강산업은 국가 경제성장률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산업이다. 선박, 기계, 건설, 자동차, 소비재 등 모든 산업에서 철강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경제 성장률이 낮아지면 자연스레 철강 수요가 줄어든다. 현재 우리 경제는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을 0.8%로 전망했다.
 
연간 국내 조강 내수판매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최근 5년 사이 조강 내수 판매량은 2021년(246만톤)으로 정점을 찍고 지난해 142만톤까지 꾸준히 줄었다. 그 외에 판재, 선재, 봉형강 등 파생 철강 제품의 매출도 줄어드는 추세다.
 
수요가 감소하면 생산은 과잉상태가 된다. 이에 철강업계는 분야를 가리지 않고 지난해부터 공장 가동중단, 설비 매각 등 구조조정 작업에 돌입했다. 포스코는 지난해 11월 1선재 공장을 폐쇄했고, 현대제철(004020) (34,800원 ▲50원 +0.14%)은 올해 포항 2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아울러 현대IFC 등 자회사 매각을 추진하는 등 군살을 빼는 중이다. 또한 철근업계는 일제히 가동률을 50~60%대로 낮추며 공급량을 조절 중이다.
 
다만, 자구적인 업계 노력에도 불구하고 일부 중소업체는 무너지고 있다. 지난 6월 철강 선재사 코스틸은 서울회생법원으로부터 회생개시 인가를 받았다. 코스틸은 지난해 영업손실 119억원, 이자 등 영업 외 비용이 235억원에 달했다. 이에 회사는 보유 토지자산 재평가 등으로 자본 확충 효과를 노렸으나 눈덩이처럼 불어난 결손금이 문제였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산 선재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50%를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코스틸의 법정관리는 낮아진 국산 선재 수요가 현실화된 경우로 평가된다. 임금, 전기요금, 감가상각비 등 고정비는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실질적 부담이 낮아진다. 구조조정이 속도감있게 진행돼야 하는 이유다.
 
 
산업 기반 침체에 지역 경제도 흔들
 
철강산업의 위기는 지역 경제 등 산업 밖으로 확산될 우려가 크다. 철강산업이 창출하는 경제효과는 포항 지역 총 생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부는 이번달 중 철강산업 구조조정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상반기 포항 지역 중견 이하 철강업체는 인력 감축에 나선 것으로 파악된다. 일례로 연매출 4000억원대의 포항 소재 합금철 제조사 동일산업(004890) (47,350원 ▲700원 +1.48%)은 올해 상반기 소속 임직원수가 219명으로 지난해 상반기(245명)보다 10% 이상 줄었다.
 
다른 포항소재 철강사인 한국주철관(000970)공업의 올해 상반기 임직원 평균 급여는 3003만원으로 직전연도 같은 기간(3140만원)보다 줄었다. 대기업도 예외는 아니다. 국내 2위 철강사 현대제철은 올해 두 차례의 희망퇴직을 실시하며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 중이다.
 
포항지역 상인은 <IB토마토>에 “철강사로부터 풀리는 근로자 월급으로 먹고 살던 포항지역 경기가 많이 침체된 것을 느낀다”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대기업 협력사나 중소기업 상황이 많이 좋지 않으며, 경력이 많은 베테랑 인력이 구조조정 대상”이라 말했다.
 
인력 감축은 인구 통계에도 반영된다. 지난해 말 50만명을 간신히 유지했던 포항시 인구는 올해들어 50만명선이 무너졌고,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 8월 포항시 인구는 49만7943명이다. 철강산업이 침체되면서 고용이 줄었고, 그 결과 지역주민이 수도권이나 울산 등 타 공업지역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한편 비교적 자금 융통이 수월한 상장사보다 중견 이하 기업의 상황은 더 나쁜 것으로 보인다. 포항시는 지난 1월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2년 연장을 지정받았다. 지원지역은 경영 위기에 빠진 중소기업 밀집 지역의 경영 정상화 지원 정책이다. 정책이 연장됐다는 것은 중소기업의 경영위기가 여전히 진행 중이라는 방증이다.
 
정준우 기자 jwjung@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