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10월 23일 19:19 IB토마토 유료 페이지에 노출된 기사입니다.
[IB토마토 권성중 기자] 올해 3분기 실망스러운 영업 성적표를 받아든
현대건설(000720) (35,300원 ▼700원 -1.98%)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 관리에 팔을 걷어붙였다. PF 리스크 관리에 소홀할 경우 올해 실적 개선이 어려울 수 있다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현대건설은 3조원 규모 CJ 공장부지 개발사업이 본격화되면서 향후 영업손실 위험 최소화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건설 본사.(사진=뉴시스)
3분기 컨센서스 대폭 하회…“원가 상승 주 요인”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8조2569억원과 영업이익 1142억원, 당기순이익 40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현대건설이 추산한 잠정 실적이다.
현대건설이 기록한 실적은 전년 동기 수준을 크게 밑돌았다. 지난해 3분기 대비 매출은 5.1% 성장한 반면, 수익성은 크게 악화된 것이다. 지난해 당시 2438억원이던 영업이익은 올 들어 53.1%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1813억원에서 401억원으로 77.9% 줄었다.
현대건설은 올해 상반기에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의 영업이익(2023년 상반기 3970억원, 2024년 상반기 3982억원)과 반기순이익(3629억원, 3544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그러나 3분기 크게 악화된 영업실적으로 올해 누계 실적 역시 전년 동기보다 크게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증권사들은 현대건설의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를 1706억원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이달 들어 이 전망치를 1475억원으로 낮췄다. 그럼에도 현대건설은 컨센서스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114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어닝쇼크를 피하지 못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IB토마토>와의 인터뷰에서 “자잿값과 인건비 상승 등 매출원가와 판매비·관리비의 급격한 상승이 수익성에 영향을 끼쳤다”며 “다만 3분기 누적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0% 성장해 연간 목표액(29조7000억원)에 근접했고, 투자개발사업 이익 회수로 영업외손식과 사업이익 증가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실제 현대건설의 연결 기준 원가율은 지난해 3분기 93.9%에서 올해 95.2%로 1.3%포인트 상승했다. 판관비 역시 인건비와 경상비의 동반 상승으로 같은 기간 6527억원에서 7113억원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리스크 관리 나선 현대건설…PF부터 손 본다
현대건설은 이번 3분기 영업실적 부진과 관련, “개별 사업장들의 부실에서 비롯된 영업손실은 없다”는 설명이다. 시공을 맡은 사업장 전반의 원가 상승이 영업이익 감소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다만 회사는 최근 PF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계획을 공개했다. PF 운영기준과 의사결정 과정의 재정립을 통해 시장 신뢰도를 제고하겠다는 방침이다.
현대건설은 우선 ‘리스크 관리 협의체’를 신설한다. 향후 협의체가 PF 운영 정책의 제정·개정과 한도 설정을 담당하며 회사의 PF 우발채무 리스크 수준을 관리할 계획이다. 특히 책임준공을 포함한 신용공여, 지분투자 등 사업의 안정성과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 위험을 리스크 관리 협의체가 전담하게 된다.
회사 관계자는 <IB토마토>와의 인터뷰에서 “리스크 관리 협의체에 관해 상시 운영 또는 전담부서 신설 등 세부적인 방침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면서도 “당사가 진행 중인 대규모 개발사업이 많은 만큼, 리스크 관리에 더욱 집중하겠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특히 현대건설은 지난 22일 공시를 통해 서울 ‘가양동 복합개발 사업’에 투입할 3조원 규모 본PF 조달을 이사회에서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 개발사업은 서울 강서구 가양동 소재 연면적 약 76만㎡ 규모 옛 CJ 공장 부지에 대규모 업무·상업시설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현대건설 측은 “경쟁적인 금리 조건으로 PF 주관사를 선정했으며, 연내 도급 계약 체결 이후 내년 3월 착공 예정”이라고 밝혔다.
회사의 올해 6월 말 연결 기준 책임준공 약정 제공 사업장 규모는 11조5088억원이다. 같은 시기 현대건설의 자기자본(10조8270억원) 대비 책임준공 약정 비율은 106.2%로 안정적인 수준이다.
다만 3조원 규모 가양동 복합개발 사업을 포함해 용산 유엔사부지 개발사업(약 11조원 추정), 복정역세권 복합개발 사업(1조5000억원) 등 ‘조 단위’ 신용보강을 제공한 대규모 개발사업들이 산재함에 따라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권성중 기자 kwon88@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