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뉴스
HOME > IR뉴스
인쇄하기
기업은행, 파견·용역직 정규직화 ‘난항’
[뉴스토마토 백아란 기자] 기업은행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작업에 난항을 겪고 있다. 올해 초 무기 계약직 인력을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한데 이어 파견·용역직까지 정규직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세부 처우 방안을 놓고 잡음이 일고 있어서다.
 
28일 서울 중구 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파견·용역직원들이 정규직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사진/백아란 기자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 파견·용역직원들은 전국시설관리노동조합, 공공연대노동조합과 함께 서울 중구 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열흘째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기업은행이 파견·용역직원에 대한 정규직 전환 방안으로 자회사 전환을 계획한 데 따른 반발이다.
 
앞서 기업은행은 작년 9월부터 노·사·전문가 협의기구를 구성해 무기계약직(준정규직)과 기간제, 파견용역 노동자에 대한 정규직전환을 추진해왔다. 문재인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에 발맞춰 직원 모두가 차별 없이 일하는 근무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조치다.
 
그 일환으로 올해 3월에는 창구 업무를 주로 전담하는 텔러(Teller) 등 무기계약직(준정규직)직원 3300여명이 정규 직원으로 전환됐다. 또 7월 중으로 일부 파견 운전기사를 준정규직으로 고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다만 세부 추진 방안을 놓고 내부에서는 불만이 속출하는 모습이다. 특히 환경미화나 경비, 시설관리 등 파견·용역직 근로자 2000여명의 정규직 전환 작업 과정에서 이견이 빚어지고 있다.
 
현재 기업은행은 용역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자회사를 설립하고, 이들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용역회사에 지급하던 용역비를 자회사 정규직원의 처우개선에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용역직 직원들은 자회사 정규직 전환은 다른 형태의 용역에 그친다는 입장이다.
 
공공연대노조 관계자는 “기업은행이 일방적으로 자회사 전환을 강행하고 있다”며 “간접고용은 또 다른 용역으로, 기존 용역 업체를 합병해 새로운 용역회사를 만드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간접 고용 노동자들이 자회사로 들어가게 되면 모든 일에 원청기관 허락이 필요한 만큼 자율성도 떨어진다”면서 “기업은행은 자회사 전환 계획을 철회하고, 용역 노동자를 정규직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와 함께 7월 말 공공연대는 기업은행 앞에서 대규모 집중 집회도 계획 중이다.
 
반면 은행에서는 금융업종 특성을 고려할 때 독립적인 인사관리체계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때는 직접고용 방식이나 자회사 방식을 선택하도록 돼있다”면서 “용역·파견직 근로자 규모가 많기 때문에 좀 더 체계적인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올해 1분기 기준 은행 총 임직원 수(무기계약직 포함)는 1만2661명이다.
 
이 관계자는 또 “기업은행은 민간은행이 아니기 때문에 인건비 등 예산 문제는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며 “(직접고용에 대한) 협의가 이뤄진다고 해도, 내부 정규직원들과의 마찰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한편 준정규직의 정규직전환에 대한 불만도 존재한다. 기업은행이 정규직 전환 과정에서 새로운 호봉제를 신설해 차별을 줬다는 지적이다. 앞서 기업은행은 총 6급까지 구성된 직급 중 5급 직급 내에 6호봉~10호봉 구간을 신설했다. 기존의 과·차장인 준정규직 직원 상당수는 5급 6호봉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올 초 정규직으로 전환된 기업은행 한 관계자는 “은행에서는 ‘동일노동 동일임금’ 기조에 맞춰서 정규직화를 추진했다고 하지만, 실제 받는 급여는 더 내려갔다”면서 “기존 정규직원과의 차별은 여전히 있다”고 꼬집었다.
 
이 관계자는 “10년 이상 근무한 준정규직 직원들의 경우 신입 직원들과 비슷한 호봉을 받기도 한다”며 “은행 노조와 사측에서는 직원들의 목소리를 수렴해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백아란 기자 alive0203@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