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한국가스공사(주) (정정)장래사업ㆍ경영 계획(공정공시)
  [20221028]
정정신고(보고)
정정일자 2022-10-28
1. 정정관련 공시서류 장래사업·경영 계획(공정공시)
2. 정정관련 공시서류제출일 2021-09-27
3. 정정사유 사업 추진계획 변경에 따른 정정
4. 정정사항
정정항목 정정전 정정후
2. 주요내용 및 추진일정
- 세부내용
□ 사업추진 계획

1. 수소사업

(1) 해외그린수소 생산 및 도입
 그린수소 도입 로드맵
 10만톤('25년) - 20만톤('30년) - 121만톤('40년)

(2) 모빌리티용 수소 인프라 구축
 창원,광주,평택,통영에서 연간 3.5만톤 생산(~'30년)

(3) 인수기지 기반 배관혼입 프로세스 구축
 인천,당진,삼척,부산에서 연간 40만톤 생산(~'30년)

(4) 수소 혼소 및 전소 발전
 인천,부산,당진,보령,울산,군산에서 연간 40만톤 수소 생산(~'30년)

(5) 탄소저감 CCUS 사업
 국내 추출수소의 한계를 보완하여 CO₂20%감축('30년) - CO₂60%감축('35년) - CO₂100%감축('40년)

(6)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
 액체·기체용 수소충전소 152개소 구축(~'30년)

(7) 분산형 연료전지 사업
 인천,평택,당진,부산,광주/전라권,대구/경상권 지역에서 총 1GW 연료전지발전소 구축(~'30년)

(8) 탄소중립 수소 메가스테이션 플랫폼
 평택기지를 국내 1호 탄소중립 수소 메가스테이션 플랫폼으로 조성. LNG냉열을 활용한 액화수소 생산/CO₂액화 및 공기액화 사업, 연료전지발전, 해외그린수소 도입을 통한 배관혼입, 수소 전소발전 실증. 향후 2호 플랫폼은 통영기지로 확장

(9) 수소 중심 제주 그린아일랜드 사업
 세계 최초 청정수소 그린아일랜드 조성. 제주 풍력 에너지 및 수전해를 통한 그린수소 생산, 배관혼입 및 혼소/전소발전 실증과 수소충전소 공급

2. 신사업

(1) LNG벙커링
 통영,당진,부산 등 국내 LNG벙커링 거점의 확장을 통한 해외(베트남,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 친환경 선박허브 네트워크 구축

(2) 콜드체인 클러스터 사업
 인천,평택 및 부산 등 국내 생산기지를 냉동·냉장 물류 중심지로 성장 및 해외(베트남,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 저탄소 냉동 물류망 완성

(3) Gas to Power
 LNG조달, 생산기지/배관/발전소 건설 사업을 해외신흥국(베트남,도미니카공화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중심으로 사업 수주 및 확장
□ 사업추진 계획

1. 수소사업

(1) 해외그린수소 생산 및 도입
 - '30년 해외 그린수소 100만톤 도입 목표 추진

(2) 액화수소 국내 도입기반 확보
 - 액화수소 수송선 확보(~'28년)
 - 액화수소 인수기지 건설(~'28년)

(3) 수소혼입 인프라 확보
 - 제주 천연가스 공급설비 활용 수소혼입 실증(~'24년)
 - 수소전용 배관 개발 및 실증평가(~'25년)

(4) 거점 수소생산 인프라 구축
 - 광주, 창원 수소생산기지 준공(~'23년) 및 평택 수소생산기지 준공(~'24년)
 - 국내 1호 평택 수소액화기지 준공(~'26년)

(5) 수소 모빌리티용 충전 인프라 구축
 - 하이넷 등 수소충전소 116기 구축(~'27년)

2. 신사업

(1) LNG벙커링
 - 통영, 당진, 부산 등 국내 LNG벙커링 거점의 확장을 통한 친환경 선박허브 네트워크 구축

(2) 콜드체인 클러스터 사업
 - 인천, 평택 등 국내 LNG 생산기지 냉열을 활용한 냉동·냉장 물류 중심지로 성장 및 저탄소 냉동 물류망 완성

(3) Gas to Power
- 해외 신흥국(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중심으로 가스복합발전 및 LNG터미널 사업 수주 및 확장
4.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2-10-28
5. 정보제공내역
 - 정보제공(예정)일시
2021-09-27 2022-10-28
5. 정보제공내역
 - 행사명(장소)
KOGAS 2021 : A New Era / 대구 -
6. 연락처(관련부서/전화번호) 미래전략부(053-670-0303/0309) 미래전략부(053-670-0303/0308)
7.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상기 2의 '주요내용 및 추진일정'은 미래에 대한 예측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경영환경 변화 및 경영계획 변경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상기 내용과 관련, 향후 투자결정과정 중 공시기준금액 이상의 의사결정 발생 시 해당내용을 별도 공시토록 하겠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당사홈페이지(www.kogas.or.kr)-열린경영-IR정보-IR자료에 게시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상기 2의 '주요내용 및 추진일정'은 미래에 대한 예측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경영환경 변화 및 경영계획 변경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상기 4.이사회결의일(결정일)은 중장기 경영목표 이사회 의결일입니다.

○ 상기 내용과 관련, 향후 투자결정과정 중 공시기준금액 이상의 의사결정 발생 시 해당내용을 별도 공시토록 하겠습니다.
-
장래사업ㆍ경영 계획(공정공시)
※ 동 정보는 장래 계획사항으로서 향후 변경될 수 있음
1. 장래계획 사항 한국가스공사의 수소·신사업 계획
2. 주요내용 및 추진일정 목적 - B2C 기업으로 도약을 위한 중장기 성장전략 수립
- 수소경제 활성화 견인
세부내용 □ 사업추진 계획

1. 수소사업

(1) 해외그린수소 생산 및 도입
  - '30년 해외 그린수소 100만톤 도입 목표 추진

(2) 액화수소 국내 도입기반 확보
  - 액화수소 수송선 확보(~'28년)
  - 액화수소 인수기지 건설(~'28년)

(3) 수소혼입 인프라 확보
  - 제주 천연가스 공급설비 활용 수소혼입 실증(~'24년)
  - 수소전용 배관 개발 및 실증평가(~'25년)

(4) 거점 수소생산 인프라 구축
  - 광주, 창원 수소생산기지 준공(~'23년) 및 평택 수소생산기지 준공(~'24년)
  - 국내 1호 평택 수소액화기지 준공(~'26년)

(5) 수소 모빌리티용 충전 인프라 구축
  - 하이넷 등 수소충전소 116기 구축(~'27년)

2. 신사업

(1) LNG벙커링
  - 통영, 당진, 부산 등 국내 LNG벙커링 거점의 확장을 통한 친환경 선박허브 네트워크 구축

(2) 콜드체인 클러스터 사업
  - 인천, 평택 등 국내 LNG 생산기지 냉열을 활용한 냉동·냉장 물류 중심지로 성장 및 저탄소 냉동 물류망 완성

(3) Gas to Power
- 해외 신흥국(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중심으로 가스복합발전 및 LNG터미널 사업 수주 및 확장
추진일정 시작일 -
종료일 -
예상투자금액 -
기대효과 - 중장기 사업계획을 통한 미래 성장동력 확보
- 실적 개선을 통한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 제고
3. 장애요인 -
4. 이사회결의일(결정일) 2022-10-28
5. 정보제공내역 정보제공자 한국가스공사 전략재무처 미래전략부
정보제공대상자 국내외 투자자 등
정보제공(예정)일시 2022-10-28
행사명(장소) -
6. 연락처(관련부서/전화번호) 미래전략부(053-670-0303/0308)
7.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상기 2의 '주요내용 및 추진일정'은 미래에 대한 예측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경영환경 변화 및 경영계획 변경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상기 4.이사회결의일(결정일)은 중장기 경영목표 이사회 의결일입니다.

○ 상기 내용과 관련, 향후 투자결정과정 중 공시기준금액 이상의 의사결정 발생 시 해당내용을 별도 공시토록 하겠습니다.
진행사항공시예정일 -
※ 관련공시 -